🍳 집에서 전 부치기, 어렵지 않아요!
안녕하세요! 명절만 되면 '전은 사 먹는 거야'라고 다짐했던 분들 계시죠? 저도 그랬거든요. 기름 냄새, 복잡한 과정... 생각만 해도 머리가 아팠는데, 백종원 님의 쿠킹로그 영상을 보고 생각이 완전히 바뀌었어요. '달걀 후라이'만큼 쉽다는 말에 속는 셈 치고 따라 해봤는데, 정말 간단하고 맛있더라고요! 🤩 오늘은 집에서도 쉽게 만들 수 있는 기본 전 레시피를 완벽하게 정리해 드릴게요.
🌽 재료정보
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.
- 🥬 알배기 배추 4장(150g) 구매하기
- 🥒 애호박 1/2개(160g) 구매하기
- 🍄 팽이버섯 1개(150g) 구매하기
- 🍄 느타리버섯 3컵(200g) 구매하기
- 🍄 새송이버섯 2개(200g) 구매하기
- 🐟 동태포 2컵(200g) 구매하기
- 🥩 소고기(불고기용) 2장(200g) 구매하기
- 🦐 자숙 새우 1.5컵(200g) 구매하기
- 🥚 달걀물 적당량 구매하기
- 🌾 밀가루 적당량 구매하기
- 🧂 꽃소금 적당량 구매하기
- 🧂 후추 적당량 구매하기
- 🍳 식용유 적당량 구매하기
- 🍶 간장 3큰술(30g) 구매하기
- 🍶 식초 1큰술(10g) 구매하기
- 🌶️ 고춧가루 1/2큰술(7g) 구매하기
- 🌿 대파 1/4컵(15g) 구매하기
- 🧄 간마늘 1/5큰술(3g) 구매하기
- ✨ 통깨 1작은술(2g) 구매하기
🥣 조리순서
밀가루 대신 부침가루나 튀김가루를 사용해도 좋아요. 이미 간이 되어 있어서 간편하답니다! 그리고 육전, 동태전, 새우 등 동물성 재료는 소금과 '후추'로 밑간을 꼭 해주세요. 맛 차이가 정말 크답니다!
-
1
양념장 만들기
제일 먼저 찍어 먹을 양념장을 만들어 둘게요. 간장, 식초(간장의 1/3 정도), 고춧가루, 다진 파, 다진 마늘, 통깨를 넣고 잘 섞어주세요. 파를 넉넉히 넣으면 더 맛있어요!
-
2
각종 재료 손질 및 밑간하기
전을 부치기 전에 재료를 손질해요.
- 배추: 두꺼운 흰 줄기 부분에 칼집을 넣어주세요. 그래야 밀가루와 달걀물이 잘 붙어요.
- 버섯류: 새송이는 편 썰고, 느타리는 찢어 준비해요.
- 애호박: 둥글게 썰어주세요.
- 육전/동태/새우: 키친타월로 물기를 제거하고 소금, 특히 후추를 꼭 뿌려 밑간합니다. 이게 맛의 핵심이에요!
-
3
기본 전 부치기 (밀가루 → 달걀물)
이제 본격적으로 부쳐볼게요! 넓은 그릇에 밀가루(부침가루)와 풀은 달걀물을 각각 준비합니다.
배추, 새송이, 애호박, 육전, 동태처럼 모양이 잡힌 재료들은 밀가루를 얇게 묻힌 뒤 → 달걀물을 입혀주세요.
기름 두른 팬에 올려 앞뒤로 노릇하게 구워내면 완성입니다. 정말 간단하죠?
-
4
특수 전 부치기 (팽이버섯/느타리/새우)
팽이버섯, 느타리, 새우처럼 낱개로 흩어지는 재료들은 방법이 달라요.
볼에 재료를 담고, 밀가루를 살짝 뿌려 먼저 버무려주세요.
그 위에 바로 달걀물을 부어 다시 한번 버무린 뒤, 숟가락으로 한 숟가락씩 떠서 팬에 올리면 모양 잡기 훨씬 편해요!
호박전은 절대 약한 불에 오래 익히면 안 돼요! 수분이 빠져서 흐물흐물해지고 모양이 다 망가져요. 기름 넉넉히 두른 팬에 센 불로 겉만 살짝 익힌다는 느낌으로 빠르게 부쳐내세요!
모든 전은 너무 약한 불에 익히면 기름을 다 흡수해서 눅눅하고 느끼해져요. 달걀의 고소함을 살리도록 불을 좀 세게 해서 부치는 게 백종원 님 팁입니다!
❓ 자주 묻는 질문
Q: 밀가루 대신 부침가루나 튀김가루 써도 되나요?
A: 네, 그럼요! 백종원 님 팁에 따르면 부침가루나 튀김가루를 써도 아주 좋습니다. 이미 간이 되어있어 맛소금을 따로 쓸 필요 없이 더 편할 수 있어요.
Q: 전을 바삭하고 고소하게 부치는 비결이 뭔가요?
A: 바로 '불 조절'입니다! 너무 약한 불에 오래 익히면 전이 기름을 먹고 눅눅해져요. 달걀의 고소한 맛이 확 올라오도록 불을 좀 세게 해서 겉을 빠르게 익히는 것이 비결입니다.
Q: 육전용 고기는 어떤 부위를 써야 하나요?
A: 영상에서는 불고기감처럼 얇게 썬 다리살을 사용했어요. 꼭 특정 부위가 아니더라도, 얇게 펴진 소고기라면 어느 부위든 맛있게 육전을 만들 수 있습니다.
Q: 애호박전이 자꾸 물러지고 모양이 망가져요.
A: 호박은 약한 불에 오래 익히면 수분이 빠져 흐물흐물해지기 때문이에요. 기름을 넉넉히 두른 팬에 센 불로 겉면만 살짝 코팅한다는 느낌으로 빠르게 부쳐내는 것이 중요합니다!
Q: 팽이버섯이나 새우는 어떻게 부쳐야 편한가요?
A: 이 재료들은 하나씩 밀가루-달걀 순서로 묻히기 정말 어렵죠. 볼에 재료를 담고 밀가루를 살짝 뿌려 버무린 뒤, 그 위에 달걀물을 부어 다시 버무려서 숟가락으로 떠서 부치면 훨씬 간편하고 맛있습니다.
👋 레시피를 마치며
어떤가요? 생각보다 정말 간단하죠? 꼭 명절이 아니더라도 비 오는 날이나 막걸리 한잔 생각날 때 오늘 배운 팁으로 간단하게 전 한 접시 만들어보는 건 어떨까요? 이 중에서 어떤 전을 제일 먼저 만들어보고 싶으신가요? 댓글로 알려주세요! 😊
아임플랫폼즈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